통합 검색

통합 검색

2024 한국디자인학회 가을 대학생 디자인 학술발표대회 - 김영기 (학술대회 우수상 수상)
  • 작성자 hide
  • 조회수 38
2024-11-04 12:49:51
Reviewed by 김영기 학부연구원 
 
[학회 후기

2024111일부터 2일까지 KAIST 본원에서 열린 한국디자인학회 가을 대학생 디자인 학술발표대회는 학회 재발족 30주년을 기념하는 뜻 깊은 행사였습니다. '디자인 임팩트'라는 주제 아래, 디자인의 사회적, 환경적, 산업적 영향력을 다루며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졌습니다. 밀라노 공대 에지오 만지니 교수의 키노트 강연과 IASDR 회장 피터 로이드 교수의 글로벌 디자인 연구 미래 전망은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LG전자의 이철배 부사장도 비즈니스 디자인의 실무적 적용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AI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세션들은 디자인 프로세스 혁신과 미래 가능성을 탐구하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학회 재발족 30주년 기념 세션에서는 학회의 역사와 비전을 공유하고, 논문 및 포스터 발표, 다양한 특별 세션을 통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활발한 학술적 교류를 나눴습니다. 참석자들은 KAIST의 가을 정취 속에서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체험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발표 후기

주제: 기화 냉각열 효과를 활용한 온열 질환 예방용 헬멧 디자인 개발 연구

2024년 한국디자인학회 가을 학술대회에서 저는 '기화 냉각열 효과를 활용한 온열 질환 예방용 헬멧 디자인 개발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이 헬멧은 기화 냉각열 효과를 활용해 작업자의 체온을 낮추고 온열 질환을 예방하도록 설계된 제품입니다. 물의 증발로 헬멧 내부 온도를 최대 3°C까지 낮춰 장시간 야외에서 일해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헬멧은 건설 노동자와 농업 종사자 등 고온 환경에 노출되는 작업자들에게 효과적이며, 경량 설계로 피로감을 줄였습니다. 실험 데이터와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그 성능이 입증되었고, 발표 후 참석자들과 이 기술의 실용성과 사회적 기여에 대해 유익한 논의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질문 1. 이 연구를 제작할 때 설계 기준은 어떻게 설정하였는지?

답변 1. 이 연구의 설계 기준은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방법론을 통해 설정하였으며,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 요구사항을 세심히 분석하여 이를 기술적 특성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기능을 헬멧에 추가할지 결정할 때, 팀원들은 사용자 피드백과 설계 목표를 판단 기준으로 삼아 객관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헬멧의 핵심 기능이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었습니다.

질문 2. 사용자의 온도를 낮추는 것에 대해서는 해결을 하신 것이 인상 깊은데, 착용감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할 생각인지?

답변 2. 착용감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주로 온도를 낮추는 기능에 집중했으나 앞으로는 무게 평형 및 경량화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더욱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용 편의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입니다.


[청취 후기]

주제: 시선 추적을 통한 난독증 추정 및 훈련서비스 개발 연구

난독증 아동을 위한 시선추적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에 대해 들은 후,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 이 프로젝트가 난독증을 겪는 아동의 학습 환경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감동적이었습니다. 다만, 아이트래커 데이터 분석이 이번 발표에서 다뤄지지 않은 점은 다소 아쉬웠습니다. 해당 분석은 난독증 진단 및 개인화된 훈련서비스 개발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후속 연구나 프로젝트의 확장에서 포함되기를 기대합니다.

 

주제: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선 및 사용성 평가 연구

인공지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는 현시점에서,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시의 적절한 주제라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보다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의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발표 내용에서 실제 사례나 표본이 더 많이 포함되었더라면 실질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아졌을 것 같습니다. 향후 더 많은 표본과 사례를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면, 이 분야의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댓글 0

답글 보기
  • 답글
답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