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통합 검색
한국 HCI 학술대회, 강원도 홍천에서 성황리에 개최
2005년 정식으로 출범한 한국 HCI 학회는 매년 1,500명 이상의 HCI 전문가들이 모이는 국내 대표 학술 행사로 자리 잡았다. 올해 HCI KOREA 2025 학술대회는 강원도 홍천 소노벨비발디파크에서 개최되었으며, 겨울철 활기로 가득한 이곳의 열기가 HCI 연구자들의 열정으로 더욱 달궈졌다.
한국 HCI 학회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에 관한 이론 및 응용을 연구하는 단체로,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인간 중심의 디지털 시스템을 고민하고 발전시키는 장을 마련해 왔다.
‘I·I·I’ 난 누구, 여긴 어디?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I·I·I’라는 상징적인 질문인 “난 누구, 여긴 어디?”로, 첨단 기술이 가져올 인간의 정체성과 자아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에 중점을 두었다. 인공지능(AI), 메타버스, 휴머노이드 로봇, 디지털휴먼 등 우리의 일상 속으로 깊숙이 스며든 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물리적·가상적·인지적 경계가 희미해진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학술대회에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 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다양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기술 발전이 인간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다루며, 인간의 경험을 더욱 의미 있게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본교 ‘인간중심통합디자인공학연구실(HIDE Lab.)’ 대상 수상
이번 대회에서는 홍익대학교 인간중심통합디자인공학연구실(HIDE, 지도교수 박기철) 소속 연구원들이 참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디자인의 창의적·감성적 사고와 공학의 논리적·과학적 사고를 융합하는 연구를 통해 혁신적 제품 및 서비스를 선보여 왔으며,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거뒀다.
이 중 ‘키즈 케어를 위한 소셜 로봇 디자인 및 시스템 설계 제안’으로 대상을 수상한 프로젝트 ‘TUTORO(튜토로)’가 단연 주목받았다. 이 프로젝트에는 차재훈, 이동운(일반대학원 기계공학과), 최성수, 김주성, 황석영, 신상일(IDAS 스마트디자인엔지니어링전공), 방영준(산업디자인), 박승민, 정유진, 정인희(디자인컨버전스학부), 이재룡(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전공), 박효상(IDAS 디자인학) 등이 참여했으며, 박기철(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교수가 지도했다.
TUTORO는 회전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을 활용한 키즈케어 로봇으로, 부모의 육아 부담을 덜고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학습을 돕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평가받았다. ‘튜터 모드’에서는 표정이 표현되는 패브릭 디스플레이를 통해 아이와 감성적 교감을 형성하고, 생활 습관 개선 및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AI 모드’에서는 주변 공간을 매핑하여 아이가 로봇을 따라다니며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보다 자연스럽고 몰입도 높은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특히 아이들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패브릭 소재와 부드러운 베이지 톤으로 마감했으며, 감성적·직관적인 UI를 적용해 흥미를 높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최성수 석사연구원은 “아이디어 구상부터 작동 가능한 로봇으로 구현하기까지 쉽지 않았지만, 연구실 내 엔지니어분들과 협력하며 즐겁게 진행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박효상 박사연구원은 “기존에 디자인만 구현된 프로젝트는 많았지만, 이번에는 엔지니어들과 함께 실제 제품의 구동과 실증을 경험할 수 있어 더욱 의미 있었다.”며 높은 만족감을 표현했다.
TUTORO는 회전형 디스플레이 인터랙션을 활용한 키즈케어 로봇으로, 부모의 육아 부담을 덜고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학습을 돕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평가받았다. ‘튜터 모드’에서는 표정이 표현되는 패브릭 디스플레이를 통해 아이와 감성적 교감을 형성하고, 생활 습관 개선 및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AI 모드’에서는 주변 공간을 매핑하여 아이가 로봇을 따라다니며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보다 자연스럽고 몰입도 높은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특히 아이들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패브릭 소재와 부드러운 베이지 톤으로 마감했으며, 감성적·직관적인 UI를 적용해 흥미를 높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최성수 석사연구원은 “아이디어 구상부터 작동 가능한 로봇으로 구현하기까지 쉽지 않았지만, 연구실 내 엔지니어분들과 협력하며 즐겁게 진행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박효상 박사연구원은 “기존에 디자인만 구현된 프로젝트는 많았지만, 이번에는 엔지니어들과 함께 실제 제품의 구동과 실증을 경험할 수 있어 더욱 의미 있었다.”며 높은 만족감을 표현했다.
온라인커뮤니케이션실 황예은 기자
https://www.hongik.ac.kr/kr/newscenter/news.do?mode=view&articleNo=133664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