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Us
Our Lab
Awards
Location
Members
Professor
Researchers
Studen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Design Domains
Research Output
Papers
Conf. Talks
Projects
R&D 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ews & Events
Updates
Articles
Library
About Us
Our Lab
Awards
Location
Members
Professor
Researchers
Students
Research Areas
Research Methods
Design Domains
Research Output
Papers
Conf. Talks
Projects
R&D 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ews & Events
Updates
Articles
Library
통합 검색
통합 검색
SCIE / SCOPUS 등재 학술지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SCIE] [2025] Visual Similarity Assessment for Product Aesthetic Properties Using Single Reference Training, Seok Young Hwang, Juseong Kim, Kicheol Pak, IEEE Access, Published: July 30, 2025
Visual Similarity Assessment for Product Aesthetic Properties Using Single Reference Training This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aesthetic evaluation of products traditionally requires large amounts of labeled preference data, which limits scalability and cost efficiency. To address this issue, the research team proposed a new method called single reference training, which enables the evaluation of aesthetic attributes without extensive labeling across many products. In this approach,
HIDE
2025.08.19
조회수 35
[SCOPUS] [2025] Analysis of Variable Sit-to-Stand Assist Chair, Eunchae Lee, Hyewon Song, Jaehoon Cha, Kyuhyoung Cho, Kicheol Pak, Proceedings of the 22n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IEA 2024, Volume 3, SSDI 41, August 1, Springe
Analysis of Variable Sit-to-Stand Assist Chair This study addresses the growing problem of lumbar diseases, which are increasing each year due to aging, lifestyle factors, accidents, and pregnancy, and focuses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a new assistive chair to aid the Sit-to-Stand (STS) movement.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619 million people worldwide suffered from lower back pain in 2020, and the number is projected to reach 843 million by 2050. Lower back pain is t
HIDE
2025.08.19
조회수 28
[SCOPUS] [2025] Research on a Water-Drawing Robot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Focusing on Interaction Methods and User Experience, Yunjeong Song, Jieun Sa, Jaehoon Cha, Juseong Kim, and Kicheol Pak, Proceedings of the 22n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on a Water-Drawing Robot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Focusing on Interaction Methods and User Experience This study explores how appropriate technology, rather than advanced and complex systems, can enrich human-robot interaction and enhance user experience. While much research in robotics has focused on industrial efficiency or the humanoid form as an ideal model, such implementations remain technically difficult and limited in replacing human role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HIDE
2025.08.27
조회수 10
1
글쓰기
[SCIE] [2025] Visual Similarity Assessment for Product Aesthetic Properties Using Single Reference Training, Seok Young Hwang, Juseong Kim, Kicheol Pak, IEEE Access, Published: July 30, 2025
Visual Similarity Assessment for Product Aesthetic Properties Using Single Reference Training This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aesthetic evaluation of products traditionally requires large amounts of labeled preference data, which limits scalability and cost efficiency. To address this issue, the research team proposed a new method called single reference training, which enables the evaluation of aesthetic attributes without extensive labeling across many products. In this approach,
HIDE(hide)
2025.08.19
조회수 35
[SCOPUS] [2025] Analysis of Variable Sit-to-Stand Assist Chair, Eunchae Lee, Hyewon Song, Jaehoon Cha, Kyuhyoung Cho, Kicheol Pak, Proceedings of the 22n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Ergonomics Association, IEA 2024, Volume 3, SSDI 41, August 1, Springe
Analysis of Variable Sit-to-Stand Assist Chair This study addresses the growing problem of lumbar diseases, which are increasing each year due to aging, lifestyle factors, accidents, and pregnancy, and focuses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a new assistive chair to aid the Sit-to-Stand (STS) movement.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619 million people worldwide suffered from lower back pain in 2020, and the number is projected to reach 843 million by 2050. Lower back pain is t
HIDE(hide)
2025.08.19
조회수 28
[SCOPUS] [2025] Research on a Water-Drawing Robot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Focusing on Interaction Methods and User Experience, Yunjeong Song, Jieun Sa, Jaehoon Cha, Juseong Kim, and Kicheol Pak, Proceedings of the 22n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on a Water-Drawing Robot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Focusing on Interaction Methods and User Experience This study explores how appropriate technology, rather than advanced and complex systems, can enrich human-robot interaction and enhance user experience. While much research in robotics has focused on industrial efficiency or the humanoid form as an ideal model, such implementations remain technically difficult and limited in replacing human role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HIDE(hide)
2025.08.27
조회수 10
글쓰기
KCI 등재 학술지
전체
2025
2020-2024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2025]
소셜 로봇의 감성적 인터랙션 강화를 위한 비언어 신호 요소 분석 및 외형 조합 최적화 방향 제안, 박효상, 박기철, 기초조형학연구, 2025, vol.26, no.2, 통권 128호 pp. 191-206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8805), (주)글로우원 주관)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의 감성적 인터랙션을 강화하기 위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소와 로봇 외형 간의 최적 조합을 분석하고, 사용자-로봇 관계에서 정서적 유대감을 높이는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는 기존에 로봇의 기능적 목적이나 외형에만 초점을 맞춘 한계를 지적하며, 외형, 사회적 관계 유형, 비언어 신호를 통합적으로 검토했다. 로봇의 외형은 휴머노이드, 애니멀, 캐릭터, 펑셔널 네 가지로 분류하였고, 사회적 관계 유형은 총 일곱 가지, 비언어 신호는 Kinesics, Vocalics, Oculesics, Proxemics, Haptics 등 다섯 가지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형을 오디오, 그래픽, 내추럴 UI로 구분해 분석하였다.연구 방법은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출시된 소셜 로봇 40종을 대상으로 사례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과 자연어 처리 기법(NLTK, Pandas)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데이터는 토큰화, 불용어 제거, 표제어 추출
hide
2025.08.14
조회수 25
[2025]
VR 가상 프로토타입 평가 방법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선: 조명 디자인을 중심으로, 신상일, 송혜원, 차재훈, 박효상, 박기철, 기초조형학연구, 2025, vol.26, no.2, 통권 128호 pp. 291-304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8805), (주)글로우원 주관)
본 연구는 조명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프로토타입 평가 단계를 개선하기 위해 가상현실(VR) 기반의 가상 프로토타입 평가 방식을 도입하여 실제 프로토타입 평가와 비교 분석한 것이다. 조명은 공간의 분위기와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색온도나 광량 조절에 따라 감정과 행동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실시간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연구진은 ‘공간 장악력’을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고, VR 기술을 활용한 가상 프로토타입 평가가 기존 물리적 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연구는 먼저 생성형 AI를 통해 조명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프로토타입(A)과 가상 프로토타입(B)을 구현하였다. A는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물리적 제품이며, B는 Autodesk Fusion과 Keyshot을 활용한 디지털 모델을 VR 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실험은 제품 디자인 경험과 VR 활용 경험을 가진 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두 가지 환
hide
2025.08.14
조회수 26
[2025]
Research on Autonomous Robot Display UX/UI Design Using Emotional Design Theory, 박세영, 박기철, 산업디자인학연구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23835), (주)에브리봇 주관)
본 연구는 자율주행 배송 로봇의 확산에 따라 로봇과 사용자 간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디스플레이의 UX/UI 디자인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임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기존의 로봇 연구는 기술 중심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으나, 사용자가 로봇을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감성디자인 이론을 적용한 UX/UI 설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Donald Norman이 제시한 감성디자인의 세 단계, 즉 본능적(Visceral), 행위적(Behavioral), 성찰적(Reflective) 단계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자율주행 로봇 디스플레이 설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는 먼저 감성디자인 이론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본능적 단계는 로봇과 사용자가 처음 마주하는 순간을 다루며 매력성, 친밀감, 안정감을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였다. 행위적 단계는 물품 수령 과정에서 발
hide
2025.08.14
조회수 23
[2020-2024]
AHP 분석을 활용한 자율주행 모빌리티 콘솔 편의장치 디자인 요소 제안, 박효상, 박기철, 기초조형학연구, 2024, 25(6)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5218), (주)서연이화 주관)
본 연구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빌리티 내부 공간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다양한 생활 및 업무 활동을 지원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특히 자율주행 4단계와 5단계에 이르면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해지면서, 사용자 경험(UX)이 모빌리티 내부 설계의 핵심으로 부상한다. 이에 연구는 모빌리티 내부에서 통합적 편의 장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콘솔에 주목하였다. 콘솔은 단순히 정보 제공이나 제어 기능을 넘어, 다양한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편리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로 정의된다. 연구의 목적은 콘솔 편의장치의 디자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향후 자율주행 모빌리티 설계 가이드로 활용하는 데 있다.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콘솔 편의장치의 정의와 역할을 구체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편의성, 혁신성, 사용자 만족도, 다목적 활용성, 커뮤니케이션 용이성의 다섯 가지 상위 기준을
hide
2025.08.13
조회수 14
[2020-2024]
목적 기반 로봇의 모듈러 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유은선, 박기철, 나건, 기초조형학연구, 2024, 25(2), 122, pp.279-293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23835), (주)에브리봇 주관)
본 연구는 미래 로봇 시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제조 패러다임으로서 ‘목적 기반 로봇(Purpose Built Robot, PBR)’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모듈러 디자인 적용 방안을 탐구한다. 연구의 배경에는 저출산과 고령화, 인력 부족, 생산성 저하라는 사회적 문제와 더불어 서비스 로봇 수요의 급증이 있다. 기존의 로봇 시장은 수직 통합형 구조에서 수평 분업형 구조로 전환되고 있으며, 서비스로서의 로봇(RaaS) 개념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형 로봇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모듈러 로봇 사례를 분석하여 한계를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산업의 모듈러 시스템 사례를 접목시켜 새로운 로봇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연구는 먼저 모듈러 디자인의 개념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Fetch Robotics와 한국의 Cobot 등 상용화된 모듈러 로봇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들 로봇은 플랫폼과 서비스 모듈을 이원화하여
hide
2025.08.13
조회수 15
1
2
3
글쓰기
소셜 로봇의 감성적 인터랙션 강화를 위한 비언어 신호 요소 분석 및 외형 조합 최적화 방향 제안, 박효상, 박기철, 기초조형학연구, 2025, vol.26, no.2, 통권 128호 pp. 191-206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8805), (주)글로우원 주관)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의 감성적 인터랙션을 강화하기 위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소와 로봇 외형 간의 최적 조합을 분석하고, 사용자-로봇 관계에서 정서적 유대감을 높이는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는 기존에 로봇의 기능적 목적이나 외형에만 초점을 맞춘 한계를 지적하며, 외형, 사회적 관계 유형, 비언어 신호를 통합적으로 검토했다. 로봇의 외형은 휴머노이드, 애니멀, 캐릭터, 펑셔널 네 가지로 분류하였고, 사회적 관계 유형은 총 일곱 가지, 비언어 신호는 Kinesics, Vocalics, Oculesics, Proxemics, Haptics 등 다섯 가지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형을 오디오, 그래픽, 내추럴 UI로 구분해 분석하였다.연구 방법은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출시된 소셜 로봇 40종을 대상으로 사례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과 자연어 처리 기법(NLTK, Pandas)을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데이터는 토큰화, 불용어 제거, 표제어 추출
HIDE(hide)
2025.08.14
조회수 25
VR 가상 프로토타입 평가 방법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선: 조명 디자인을 중심으로, 신상일, 송혜원, 차재훈, 박효상, 박기철, 기초조형학연구, 2025, vol.26, no.2, 통권 128호 pp. 291-304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8805), (주)글로우원 주관)
본 연구는 조명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프로토타입 평가 단계를 개선하기 위해 가상현실(VR) 기반의 가상 프로토타입 평가 방식을 도입하여 실제 프로토타입 평가와 비교 분석한 것이다. 조명은 공간의 분위기와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색온도나 광량 조절에 따라 감정과 행동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실시간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연구진은 ‘공간 장악력’을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고, VR 기술을 활용한 가상 프로토타입 평가가 기존 물리적 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연구는 먼저 생성형 AI를 통해 조명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프로토타입(A)과 가상 프로토타입(B)을 구현하였다. A는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물리적 제품이며, B는 Autodesk Fusion과 Keyshot을 활용한 디지털 모델을 VR 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실험은 제품 디자인 경험과 VR 활용 경험을 가진 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두 가지 환
HIDE(hide)
2025.08.14
조회수 26
Research on Autonomous Robot Display UX/UI Design Using Emotional Design Theory, 박세영, 박기철, 산업디자인학연구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23835), (주)에브리봇 주관)
본 연구는 자율주행 배송 로봇의 확산에 따라 로봇과 사용자 간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디스플레이의 UX/UI 디자인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임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기존의 로봇 연구는 기술 중심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으나, 사용자가 로봇을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감성디자인 이론을 적용한 UX/UI 설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Donald Norman이 제시한 감성디자인의 세 단계, 즉 본능적(Visceral), 행위적(Behavioral), 성찰적(Reflective) 단계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자율주행 로봇 디스플레이 설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는 먼저 감성디자인 이론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본능적 단계는 로봇과 사용자가 처음 마주하는 순간을 다루며 매력성, 친밀감, 안정감을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였다. 행위적 단계는 물품 수령 과정에서 발
HIDE(hide)
2025.08.14
조회수 23
AHP 분석을 활용한 자율주행 모빌리티 콘솔 편의장치 디자인 요소 제안, 박효상, 박기철, 기초조형학연구, 2024, 25(6)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5218), (주)서연이화 주관)
본 연구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빌리티 내부 공간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다양한 생활 및 업무 활동을 지원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특히 자율주행 4단계와 5단계에 이르면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해지면서, 사용자 경험(UX)이 모빌리티 내부 설계의 핵심으로 부상한다. 이에 연구는 모빌리티 내부에서 통합적 편의 장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콘솔에 주목하였다. 콘솔은 단순히 정보 제공이나 제어 기능을 넘어, 다양한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편리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로 정의된다. 연구의 목적은 콘솔 편의장치의 디자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향후 자율주행 모빌리티 설계 가이드로 활용하는 데 있다.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콘솔 편의장치의 정의와 역할을 구체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편의성, 혁신성, 사용자 만족도, 다목적 활용성, 커뮤니케이션 용이성의 다섯 가지 상위 기준을
HIDE(hide)
2025.08.13
조회수 14
목적 기반 로봇의 모듈러 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유은선, 박기철, 나건, 기초조형학연구, 2024, 25(2), 122, pp.279-293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23835), (주)에브리봇 주관)
본 연구는 미래 로봇 시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제조 패러다임으로서 ‘목적 기반 로봇(Purpose Built Robot, PBR)’의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모듈러 디자인 적용 방안을 탐구한다. 연구의 배경에는 저출산과 고령화, 인력 부족, 생산성 저하라는 사회적 문제와 더불어 서비스 로봇 수요의 급증이 있다. 기존의 로봇 시장은 수직 통합형 구조에서 수평 분업형 구조로 전환되고 있으며, 서비스로서의 로봇(RaaS) 개념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형 로봇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모듈러 로봇 사례를 분석하여 한계를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산업의 모듈러 시스템 사례를 접목시켜 새로운 로봇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연구는 먼저 모듈러 디자인의 개념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Fetch Robotics와 한국의 Cobot 등 상용화된 모듈러 로봇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들 로봇은 플랫폼과 서비스 모듈을 이원화하여
HIDE(hide)
2025.08.13
조회수 15
더보기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