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ur Lab.
Awards
Location
Our People
Professor
Researchers
UG Researchers
Research
Papers
Conf. Papers
Conf. Talks
Projects
Co-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otices
Updates
Articles
Library
Schedules
Introduction
Our Lab.
Awards
Location
Our People
Professor
Researchers
UG Researchers
Research
Papers
Conf. Papers
Conf. Talks
Projects
Co-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otices
Updates
Articles
Library
Schedules
통합 검색
통합 검색
Articles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11
연구실에 지원할 학부연구원 여러분들에게...작성中
hide
2025-04-21
30
10
비전일제(Part-time / 산업체 재직자)로 입학한 대학원생들에게, 작성 예정
hide
2025-04-01
51
9
자기개발(自己開發)’과 ‘자기계발(自己啓發)의 차이
hide
2025-03-22
50
8
직장인과 직업인, 그 차이를 아는 삶
hide
2025-03-22
45
7
박사과정생이 알아야 할 몇 가지
hide
2025-03-03
68
6
전일제(Full-time)로 입학한 대학원생들에게
hide
2025-02-05
128
5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를 위한 몇 가지
hide
2025-02-05
121
4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연구원들에게
hide
2025-02-05
78
3
디자인R&D정부과제를 바라보는 관점
hide
2025-02-05
98
2
대학원생들, 껍질 속에 있더라도 안주하지 마라.
hide
2025-02-05
100
1
2
글쓰기
11
연구실에 지원할 학부연구원 여러분들에게...작성中
아래 글은 앞으로 연구실에 지원할 학부연구원 여러분들에게 하는 당부입니다. 천천히 읽어보고, 함께할 미래를 그려보면 좋겠습니다.첫 번째, 무엇보다 여러분의 관심 분야와 연구실의 연구 방향이 일치했으면 합니다. 연구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에, 흥미가 있어야 힘들 때도 더 버틸 수 있고 의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진심으로 흥미를 느끼는 분야일수록 의욕도 생기고 재미도 느껴질 것입니다. 그 결과 힘든 과정을 겪더라도 그만큼의 보람과 성취감을 얻을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두 번째, 한 번 무언가를 하기로 결심했다면, 그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최선을 다하길 바랍니다. 지금 이 순간은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으므로, 어떠한 선택을 하든 순간순간 최선을 다하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연구실에서의 경험이든, 혹은 학교 밖에서의 활동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시간이 흐른 뒤 뒤돌아보았을 때 “그때 정말 열심히 했고, 배운 것도 많았다”며 후회 없이 웃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세 번째, 연구실에
HIDE(hide)
2025-04-21
30
10
비전일제(Part-time / 산업체 재직자)로 입학한 대학원생들에게, 작성 예정
작성 예정
HIDE(hide)
2025-04-01
51
9
자기개발(自己開發)’과 ‘자기계발(自己啓發)의 차이
HIDE Lab. 연구원 여러분, 대학원 과정을 밟으며 연구와 학업에 매진하는 동안, 흔히 혼용되어 쓰이는 ‘자기개발(自己開發)’과 ‘자기계발(自己啓發)’의 차이를 알아두면 좋겠습니다.먼저, 자기개발은 자신의 내면과 인격, 가치관, 태도 등을 스스로 갈고닦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개발(開發)’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간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심리적·인성적 성숙과 삶의 자세를 다듬는 데 주안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독서나 명상, 자기 성찰, 그리고 리더십 훈련 등을 통해 인격적 성장과 정신적 성숙을 이끌어낼 수 있지요.반면에, 자기계발은 자신의 지식, 기술, 업무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 활동입니다. ‘계발(啓發)’이라는 단어는 ‘깨우치고 일깨운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실질적인 역량 강화와 외적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외국어 공부, 자격증 취득, 실무 교육, 코딩 학습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정리하자면, 자기개발은 내적 성장을, 자기계발은 외적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둡니
HIDE(hide)
2025-03-22
50
8
직장인과 직업인, 그 차이를 아는 삶
HIDE Lab. 연구원 여러분, 여러분이 단순히 직장인에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선택한 일을 통해 삶을 주도하는 직업인으로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글을 전합니다.많은 학생들이 현대차, LG전자,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에 취업하기를 꿈꿉니다. 이들 기업은 높은 연봉, 안정적인 복지, 그리고 사회적 지위를 제공하는 ‘좋은 직장’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좋은 직장에 들어가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임원 등 원하는 자리에 도달했다고 해서 거기에서 멈춰서는 안 됩니다. 진정한 성장은 그 이후부터 시작됩니다.‘직장인’은 특정 조직에 소속되어 급여를 받고 주어진 일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정해진 구조와 규칙 안에서 상사의 지시나 조직의 목표에 맞춰 일하며, 소속과 안정성, 그리고 조직 적응력이 중요한 가치로 작용합니다. 때로는 전문성보다도 조직 내에서 잘 굴러가는 톱니바퀴 같은 역할이 요구되기도 합니다.반면 ‘직업인’은 단지 소속된 자리에 만족하지
HIDE(hide)
2025-03-22
45
7
박사과정생이 알아야 할 몇 가지
박사과정생 대상 연구장려 프로그램에 지원하세요.본인의 연구 주제로 정부에서 제공하는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지원' 등 박사 과정생 대상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지원하세요. 만약 연구과제가 선정되면 연구자로서 자신의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줍니다.연구 역량 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성을 함께 갖춰야 합니다.미래의 연구자로 성장하기 위해 뛰어난 연구 역량 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성을 함께 갖춰야 합니다. 연구 능력은 학문적 기여와 성과를 결정하며, 인성은 주변 연구자들과의 좋은 관계와 평판을 말하는 경우가 많으며, 협업과 지도, 학문적 윤리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성실함을 바탕으로 꾸준히 연구 역량을 키워나가야 합니다.본인의 관심 분야에서 좋은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연구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몇 번의 시도로 좋은 논문을 등재하기는 어려우니, 평소 비판적 사고로 좋은 논문을 자주 접하고 노력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HIDE(hide)
2025-03-03
68
6
전일제(Full-time)로 입학한 대학원생들에게
연구원 여러분, 다음의 내용이 여러분들의 대학원 생활에 보탬이 되면 좋겠습니다. 연구원 여러분, 이 글이 여러분의 대학원 생활에 작은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특히 학부 졸업 후 더 나은 직장에 취직하고자 하거나, 혹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전일제(Full-time)로 IDAS나 일반대학원에 입학한 대학원생에게 당부합니다. 또한 이 글이 “대학원에 진학하면 어떻게 생활해야 할까?”라는 고민에 대한 방향 제시와 함께 동기 부여의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성실함과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회사는 “뽑을 인재가 없다”며 구인난을, 지원자는 “갈 만한 회사가 없다”며 구직난을 호소하는 현실 속에서, 제한된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자신의 성실함과 노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다양한 과제와 프로젝트 참여, 공모전 수상, 논문 등재, 학술 대회 발표, 특허, 프레젠테이션 및 외국어 능력 등은 이러한 역량을 보여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시간을 들여 치열하게 노력한 경험은 결코 배신하지 않으니 그
HIDE(hide)
2025-02-05
128
5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를 위한 몇 가지
연구원 여러분, 여러분들의 원활한 팀 작업을 위해 몇 가지 다음과 같이 당부합니다.다양한 팀 프로젝트 경험은 취업에 도움이 됩니다. 스타트업을 제외하고, 여러분들이 주로 취업을 원하는 대기업은 대부분 구성원의 R&R이 명확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하기 보다는, 개인의 전문성을 구성원의 일부로서 발휘하길 기대합니다. 따라서 혼자 수행하는 프로젝트는 드물고, 대부분이 팀 단위로 이뤄집니다. 따라서 회사가 고용을 원하는 인재상이 되기 위해서라도 다양하고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 경험은 중요합니다. 팀 프로젝트 이력과 그 결과물을 통해 능력의 일부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를 통해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 과정에서 여러분은 다양한 배경과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상대방을 이해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공감 능력이라고 하며, 거의 모든 문제 해결의 첫 단추이기 합니다. 이와 같은 공감 능력은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창의적
HIDE(hide)
2025-02-05
121
4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연구원들에게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연구원 여러분들에게 다음과 같이 당부합니다.연구실을 벗어나 학문적 자극을 받길 바랍니다.학술대회는 여러분들에게 새로운 자극과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연구실은 지도교수님의 학문 영역 내에서 제한된 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으므로, 학술대회는 이를 벗어나 다양한 연구자의 발표를 접하고 외부 자극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본인의 관심 분야와 관련된 발표를 챙겨 들으며, 지적 호기심을 채우고 연구 방향성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연구자들의 세부 연구 주제가 다를지라도 디자인, 기계공학, 자동차공학, HCI 등 학술대회의 주요 학문적 틀은 유사하기 때문에 서로 교류를 통해 공동 연구의 계기를 마련하거나 동기부여를 할 수도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를 키우는 시간으로 만들길 바랍니다.발표 후 질의 응답 시간을 통해, 다른 연구자에게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고 비판적 사고를 키우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HIDE(hide)
2025-02-05
78
3
디자인R&D정부과제를 바라보는 관점
HIDE Lab. 연구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디자인R&D정부과제를 바라보는 석ㆍ박사 연구원 여러분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말할 것이 있어요. 우리 연구실은 주로 디자인R&D정부과제에서 연구비를 받아 여러분들의 인건비, 국내ㆍ외 학술대회 참가비, 등록비, 논문 등재 및 공모전 출품비, 연구 관련 도서 구매 등으로 사용합니다. 연구비는 정부의 세금을 재원으로 연구실에서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연구실에서 연초에 목표로 한 연구과제 R&R을 성실하게 이행해야 하는 조건으로 지급됩니다. 연구비로 과제를 수행하고 이 과정을 통해 여러분들은 연구 역량을 쌓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는 정부과제의 R&R과 본인의 관심 분야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관심 분야와 연구실 내 연구 및 업무가 일치하면 좋겠지만, 그런 행운은 쉽게 찾아오지 않습니다. 다만 큰 틀에서 추구하는 방향만 일치한다면 수긍하며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그것이 아니라면, 여러분 스스로 원하는 연구를 위해서 외
HIDE(hide)
2025-02-05
98
2
대학원생들, 껍질 속에 있더라도 안주하지 마라.
제목: 대학원생들, 껍질 속에 있더라도 안주하지 마라. 이화여대 오욱환 대학원생은 껍질 속에 있더라도 안주하지 말고, 탈각과 비상을 위해 부단히 준비해야 한다. 배우는 처지에 있더라도 비굴해서는 안 된다. 가르치는 사람은 단지 먼저 배운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교수-학습 과정이 인간관계로 이루어진다고 학습과 사교를 혼동해서도 안 된다. 대학원 과정은 사교할 만큼 한가한 때가 아니다. 교수들에게 아부함으로써 그리고 교우들과의 친밀함을 통해서 학업 부담을 줄이려고 애쓰지 마라. 학업은 피하는 방법으로는 그 부담이 절대로 덜어지지 않는다. 학업 부담을 덜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학업을 그만 두는 것이다. 부담이 느껴질수록 제 자리에 있음을 의미한다. 학업에 대한 부담이 없다면, 배움에 의미를 두지 않거나 배울 것이 없는 상태이므로 대학에 머물 이유가 없다. 학교는 지적 탐구에 도움을 주는 기관이며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주는 보급소가 아니다. 열심히 공부해야 할 시기가 재미있게 놀 수 있는
HIDE(hide)
2025-02-05
100
더보기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