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통합 검색

전일제(Full-time)로 입학한 대학원생들에게
  • 작성자 hide
  • 조회수 128
2025-02-05 22:53:03

연구원 여러분, 다음의 내용이 여러분들의 대학원 생활에 보탬이 되면 좋겠습니다. 

연구원 여러분, 이 글이 여러분의 대학원 생활에 작은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특히 학부 졸업 후 더 나은 직장에 취직하고자 하거나, 혹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전일제(Full-time)로 IDAS나 일반대학원에 입학한 대학원생에게 당부합니다. 또한 이 글이 “대학원에 진학하면 어떻게 생활해야 할까?”라는 고민에 대한 방향 제시와 함께 동기 부여의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성실함과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회사는 “뽑을 인재가 없다”며 구인난을, 지원자는 “갈 만한 회사가 없다”며 구직난을 호소하는 현실 속에서, 제한된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자신의 성실함과 노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다양한 과제와 프로젝트 참여, 공모전 수상, 논문 등재, 학술 대회 발표, 특허, 프레젠테이션 및 외국어 능력 등은 이러한 역량을 보여줄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시간을 들여 치열하게 노력한 경험은 결코 배신하지 않으니 그 과정을 통해 “남들보다 성실하고 뛰어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인성과 인간관계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아무리 성실히 노력해도 기본적인 인성과 사람 사이의 원만한 관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역량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회사에 입사하면 대부분의 업무가 동료 혹은 외부 업체와의 협업으로 진행되는데, 선호하는 회사일수록 업무 분장이 명확하고 고도화되어 있어 혼자 해결할 수 있는 범위가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학원에서 팀 프로젝트를 통해 협업을 경험해 보길 바랍니다. 일부 팀원이 성실하지 않아 실망스러운 상황이 생길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럴수록 내 책임과 역할이 커지는 것을 성장의 기회로 삼으십시오. 그런 팀원을 “나를 성장시켜주는 선생님”이라고 여기며, 남 탓으로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기보다 인내심과 고민을 통해 발전한 자신을 발견하게 되길 바랍니다. 

환경에 대한 시각과 태도를 바꾸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디자인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IDAS에 진학했다면,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좋은 환경임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일부 학생이나 교수님, 시설, 제도 등 여러 면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으나, 홍대 앞이라는 문화적 이점과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의 산학 프로젝트 기회, 교환학생 프로그램, 장학금, 글로벌 수준의 교수진 등은 분명 장점입니다. 여러분 스스로 적극적으로 좋은 강의를 찾아 듣고,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도전하며, 방학 등을 활용해 산학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관련 분야의 연구실에서 석박사 연구원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기회를 포착한다면 대학원 생활은 훨씬 풍부해질 것입니다. 

앞으로의 시간들이 여러분에게 값진 경험과 성장을 가져다주길 바라며, 투자한 시간과 노력이 더 나은 미래로 이어지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25.02.05 박기철

댓글 0

답글 보기
  • 답글
답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