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통합 검색

Research on Autonomous Robot Display UX/UI Design Using Emotional Design Theory, 박세영, 박기철, 산업디자인학연구 (이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23835), (주)에브리봇 주관)
  • 작성자 hide
  • 조회수 23
2025-08-14 12:54:37

본 연구는 자율주행 배송 로봇의 확산에 따라 로봇과 사용자 간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디스플레이의 UX/UI 디자인이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임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기존의 로봇 연구는 기술 중심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으나, 사용자가 로봇을 친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감성디자인 이론을 적용한 UX/UI 설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Donald Norman이 제시한 감성디자인의 세 단계, 즉 본능적(Visceral), 행위적(Behavioral), 성찰적(Reflective) 단계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자율주행 로봇 디스플레이 설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먼저 감성디자인 이론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본능적 단계는 로봇과 사용자가 처음 마주하는 순간을 다루며 매력성, 친밀감, 안정감을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였다. 행위적 단계는 물품 수령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제 상호작용을 대상으로 하며 효율성, 즉시성, 명확성을 주요 기준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성찰적 단계는 상호작용 종료 후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 신뢰, 애착을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단계별 분석틀을 통해 네이버랩스의 루키(Rookie), 현대로보틱스의 달-이(Dal-E), 서브 로보틱스의 서브(Serve) 로봇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세 로봇의 디스플레이 UX/UI 사례를 비교한 결과, 루키는 세 단계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감성디자인 구현을 보여주었다. 특히 루키는 눈 모양 그래픽과 움직임 애니메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끌고 직관적 친밀감을 형성했으며, 주문자 이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와의 개인적 연결성을 강화했다. 행위적 단계에서는 얼굴 인식 기반 인증과 직관적인 아이콘 사용을 통해 즉시성과 명확성을 확보하였고, 성찰적 단계에서는 개인 맞춤형 메시지와 감정 표현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감과 애착을 유도하였다. 이에 비해 달-이는 정보 전달 위주의 UX/UI가 중심이었으며, 브랜드 자산을 강조하는 방식은 안정감은 제공했지만 친밀성과 만족감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서브 로봇은 단순하고 명확한 정보 전달에는 효과적이었으나 감성적 상호작용 요소는 부족하여 반응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감성디자인 이론을 반영한 디스플레이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능적 단계에서는 부드러운 색조, 애니메이션, 눈 모양 LED를 활용하여 시각적 매력과 안정감을 부여하였고, 사용자의 이름이나 인사 메시지를 표시해 친밀감을 형성하였다. 행위적 단계에서는 QR 코드와 얼굴 인식 중 선택 가능한 인증 방식을 제공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인증 후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바로 물품 수령 과정을 안내하여 즉시성과 명확성을 강화하였다. 성찰적 단계에서는 상호작용 종료 시 감사 메시지와 함께 감정을 표현하는 애니메이션을 사용하고, 반복 이용자에게는 누적 횟수를 표시하여 지속적인 관계 형성을 유도하였다.

프로토타입은 로봇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A/B 테스트를 통해 검증되었다. 평가 결과 새롭게 개발된 프로토타입은 기존 사례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매력성, 친밀감, 애착에서 큰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이모지와 감정 표현을 통한 정서적 교감 설계가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했음을 의미한다. 반면 안정감과 신뢰성은 테스트베드 환경과 저사양 디스플레이의 제약으로 인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자율주행 로봇 디스플레이 UX/UI 설계에 감성디자인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단순한 기능적 편의성뿐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정서적 유대와 만족감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기존 기술 중심적 접근이 놓치고 있던 인간 중심적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확장한 시도로 평가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향후 로봇 디스플레이 설계에서 감성디자인이 중요한 이론적, 실무적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시각뿐 아니라 소리, 조명 등 다감각적 요소를 포함한 인터페이스 연구로 확장될 필요성을 강조한다

댓글 0

답글 보기
  • 답글
답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