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통합 검색
※ HIDE Lab. 연구원 여러분 다음의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여 심사 및 졸업 과정에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기 바랍니다.
[Full-time 대학원생]
과정 | 학술지 논문등재 (KCI, SCOPUS....etc) | 학술대회 구두발표 | 학위논문 심사대상 |
---|---|---|---|
석사 | 제 1저자 2편 이상 | 제 1저자 2편 이상 | O |
제 1저자 2편 미만 | 제 1저자 2편 미만 | X | |
박사 | 제 1저자 3편 이상 | 제 1저자 3편 이상 | O |
제 1저자 3편 미만 | 제 1저자 3편 미만 | X |
[Part-time / 산업체 재직 대학원생]
과정 | 학술지 논문등재 (KCI, SCOPUS....etc) | 학술대회 구두발표 | 학위논문 심사대상 |
---|---|---|---|
석사 | 제 1저자 2편 이상 | - | O |
제 1저자 2편 미만 | - | X | |
박사 | 제 1저자 3편 이상 | - | O |
제 1저자 3편 미만 | - | X |
1. 학위 논문 작성 시 유의사항
논문 주제·내용·유형(연구/작품) 지도교수와 사전 논의
학위 논문 심사 대상인지 확인
2. 학위 논문 심사 시 유의사항
발표 시간 : 1인당 총 15분(발표 10분, 질의응답 5분)
발표 언어 : 영어 권장(Q&A는 한국어 가능)
사전 준비 : 영어 발표 충분히 연습, 예상되는 Q&A 미리 준비
※ 상기 내용은 2025년 2월 졸업 예정자부터 적용 예정 (2024년 8월 졸업 예정자 해당사항 없음)
※ 연구실 학위논문 심사대상 논문 실적은 공저자가 없는 제1저자로 교신저자로 지도교수만 포함
※ 본인 학위 논문과 관련된 주제로 작성, '등재논문 + 등재논문 = 학위논문'의 개념으로 논문 작성 추천
※ 논문심사료 및 논문게재료 지원 (학회가입비 또는 등록비 지원 X)
참고자료
[논문저자 구분]
구분 | 영어 명칭 | 역할 및 의미 | 특징 및 위치 |
---|---|---|---|
단독저자 | Sole Author | 논문을 혼자서 작성하고 모든 기여를 한 저자 | 공저자 없이 이름이 하나만 기재됨 |
제1저자 | First Author |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저자, 주로 연구 수행 및 논문 작성 주도 | 논문 저자 목록에서 가장 앞에 위치 |
제2저자 | Second Author | 두 번째로 많은 기여를 한 저자, 주요 실험이나 분석에 관여 | 제1저자 다음에 위치 |
공저자 | Co-authors | 논문에 공동으로 이름을 올린 모든 저자 | 제1저자, 제2저자, 그 외 저자 모두 포함 |
교신저자 | Corresponding Author | 논문의 대표자로, 학술지와의 소통과 논문 책임을 담당 | 별도 표기 (*표시 등), 보통 마지막 또는 별도 지정 |
[학술지 구분]
구분 | 운영기관 | 범위 | 수준 | 주요 분야 |
---|---|---|---|---|
SCI | Clarivate | 자연과학, 공학, 의학 등 이공계 | ★★★★★ |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 분야 저널. 인용도 중심. |
SSCI | Clarivate | 사회과학 전 분야 | ★★★★★ | 사회과학 분야의 SCI. 국제적 영향력 큰 사회과학 논문에 사용됨. |
SSCE | Clarivate | 자연과학, 공학 등 이공계 전반 | ★★★★☆ | SCI보다 범위 넓음. 질은 다소 낮지만 여전히 국제적 권위 인정. |
A&HCI | Clarivate | 인문학 및 예술 분야 | ★★★★☆ | 인문예술 분야의 국제적 인용지수. 상대적으로 저널 수는 적음. |
SCOPUS | Elsevier | 이공계 + 사회과학 + 인문학 전체 | ★★★★☆ | 세계 최대 규모의 통합 학술 DB. 다양한 등급의 저널 포함. 검색 및 분석 용이. |
KCI | 한국연구재단 | 전 학문 분야 (주로 국내 저널) | ★★☆☆☆ | 국내 학술지 평가 및 관리 목적. 국내 학위·연구평가 시 자주 사용됨. |
Q&A
Q1. IDAS의 디자인경영,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스마트디자인엔지니어링(SDE) 전공 학생들이 본인이 입학한 전공과 무관하게 지도교수를 선택할 수 있나요?
A. 네, 입학 전공에 상관없이 원하는 지도교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도교수는 IDAS 교수뿐만 아니라 본교 내 다른 대학원 소속 교수도 가능합니다.
Q2. 스마트디자인엔지니어링(SDE) 전공 중, 공학석사와 디자인석사를 취득하는 조건과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스마트디자인엔지니어링(SDE) 전공은 총 21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수 과정에서 디자인 교과목을 추가로 9학점 취득하면 ‘디자인석사’, 공학 교과목을 추가로 9학점 취득하면 ‘공학석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댓글 0